권지안 작가는 음악을 캔버스에 그린다. 그것도 붓질이 아닌, ‘몸짓회화’로 완성한다. 한 작품을 위해 특별히 작사ㆍ작곡ㆍ편곡 과정을 거친 음악을 만들고, 그 음률에 맞춘 치밀한 안무구성을 짠다. 그리고 다시 오랜 시간 안무를 몸에 익힌 후에 음악에 맞춘 ‘퍼포먼스 회화’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말 그대로 결과물은 캔버스의 평면회화지만, 그 이면에 음악과 미술 두 장르가 혼합된 형식이다. 가수(솔비)이면서 미술가(권지안)인 스스로의 두 가지 장점을 결합한 작품이다. 그래서 이를 ‘셀프 콜라보레이션’ 시리즈라고 부른다.
가수 ‘솔비’라는 이름으로 더 먼저 알려진 그녀는 ‘잘 짜인 뮤직퍼포먼스 즉흥회화’라는 나름의 영역을 개척했다. 처음 그녀의 작품이 탄생하는 과정을 현장 혹은 영상으로 접하면, 대개 현장의 우연성과 즉흥성에 의존한 추상화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수개월 이상의 치밀하고 헌신적인 인고의 준비과정을 필요로 한다. 마치 단 몇 분의 데뷔 쇼 무대를 위해 수개월에서 수년의 연습과정을 거친 가수와 첫 개인전을 위해 오랜 세월 자신만의 조형의지를 불태웠던 아티스트가 한 몸이 된 듯하다.
“작품들은 ‘계획된 우연성’의 결과입니다. 음악과 퍼포먼스, 물감의 색에 담긴 의미 등이 어우러져 ‘어떻게 그려지게 될 것’에 이르기까지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수없이 반복의 연습시간을 갖기 때문입니다. 물론 실제의 현장 퍼포먼스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았던 우연성이 가미되면서 순수회화적인 요소가 두드러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어느 순간 내가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로 물감과 한 몸이 된 퍼포먼스가 펼쳐지고, 그때서야 비로소 ‘내가 알 수 없는 내 안의 세계’를 끌어내게 됩니다.”
권지안 작품에서 진솔함이 묻어나는 이유 역시 자기 자신을 온전히 캔버스 안에 드러내 놓기 때문일 것이다. 종종 ‘나 자신을 지키기 위해 그림을 시작했다’는 그녀의 말처럼, 기존의 미술이 지닌 고정적인 문법들이나, 보이지 않는 룰에 예속되길 거부한다. 오로지 ‘창작자로서의 직관성’에 몰두하는 과정으로 진정한 자유로움을 만끽한다. 우리 역시 그 과정을 살펴보면서 가슴속에 응어리져 맺혔던 앙금을 풀어내는 카타르시스의 대리만족을 경험하게 된다. 아마도 무엇보다 일등공신은 음악적 요소일 것이다. 음악은 창작자와 관람자를 잇는 무형의 끈인 셈이다.
여기에 퍼포먼스라는 몸짓이 합류하면서 청각에 이어 시각적으로도 만족감을 배가시키게 된다. 찰나의 순간에 공중으로 증발되는 음률들을 원초적인 내면의 몸짓으로 하나도 놓치지 않고 온몸으로 휘감아 잡아둔다. 천상의 하모니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