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 쿤스 작품 재해석한 케이크로 '표절 논란' 대중 논쟁까지 녹여내 앤디 워홀 오마주 퍼포먼스 담론 확장되면서 작품으로 성장한 '그냥 케이크' "직접 기획한 영상…논란도 실험적 작품으로"
[CBS노컷뉴스 유원정 기자]

'표절이냐 오마주냐' 대중 사이에서 오간 설전도 결국 하나의 작품이 됐다. 작가 겸 가수 솔비(본명 권지안)가 표절 논란을 오마주 퍼포먼스로 피드백하면서 또 한 번 담론 확장의 장을 열었다. 발단은 지난 23일 솔비가 SNS에 올린 한 장의 사진에서 비롯됐다. 솔비는 "이 케이크도 저만의 방식으로 만들어봤는데 어떠냐. 너무 실험적이냐"면서 '#현대미술케이크'라는 해시태그를 달았다. 클레이(점토)를 반죽한 듯한 독특한 모양새로 화제가 된 케이크는 이내 표절 논란을 몰고 왔다. 케이크 모양이 미국 현대미술가 제프 쿤스 작품 중 하나인 'Play-Doh'와 유사하다는 문제 제기였다. 솔비는 곧바로 원래 게시물에 "아이들 클레이 놀이하는 걸 보다가 제프 쿤스 'play-doh' 작품을 보고 영감받아 좀 더 자유로운 방식으로 저만의 케이크를 만들어 봤다. 사실 이렇게 이슈가 될지 몰랐다"며 "'play-doh' 작품의 개념처럼 '모두가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저 역시도 이 자유로운 발상을 케이크로 전환해봤다"고 자세한 부연을 덧붙였다.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제프 쿤스는 팝아트계 대표 작가 중 한 사람으로 현대미술에 관심이 있다면 익히 들어봤을 이름이다. 이미 이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솔비가 해당 작가의 작품을 대놓고 '표절'하기는 상식적으로 어렵다. 부연 설명에도 계속되는 논쟁에 솔비는 팝아트의 대가 앤디 워홀을 오마주한 퍼포먼스로 마침표를 찍었다. 앤디 워홀은 1982년 '미국의 66가지 풍경'이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연출하면서 자신이 약 5분간 버거킹 와퍼를 먹는 장면을 촬영했다. 영상 마지막엔 'Burger, New York'(버거, 뉴욕)이라는 음성이 자막과 함께 삽입돼 이것이 뉴욕의 대표적 풍경임을 시사한다. 지난 28일 SNS에 게시된 영상 속에서 솔비는 버거 대신 문제의 케이크를 먹은 후 'Just a Cake, Seoul'(그냥 케이크, 서울)이라는 음성을 자막과 함께 넣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