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가 권지안
캔버스 가득 물감을 뿌리고는 망설임 없이 손을 뻗어 나간다. 조용한 작업실에서 캔버스를 탁탁 톡톡 두드리고, 철벅 철벅 문지르는 낯선 소리가 들려온다. 하얀 캔버스에 예상치도 못했던 색들이 가득 차는 과정을 보고 있게 만드는 작업의 주인공은 화가 권지안, 가수 솔비였다. 춤을 추듯 그림을 그리고, 노래하듯 색을 섞고, 누군가를 위로하듯 캔버스를 어루만지는 그녀. 스스로 다친 마음을 치유하는 방법을 찾아서일까. 그녀의 공간도, 작품도, 이야기도 사람들을 위로하고 있었다.
글·사진 신혜진(기획홍보팀)
“그러다 미술도 시작하게 되었고 그때 만난 선생님과이야기를 하고 그림을 그리며 마음이 치유되기 시작했어요.” 권지안 | 화가
작업실이 독특해요. 카페와 작업 공간이 분리되어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누구나 쉽게 올 수 있는 공간이네요. 어떻게 여기에서 작업을 하게 되셨어요?
장흥에 작업실을 둔 지 1년 반 정도 되었어요. 바로 옆에 가나아트 센터가 있어요. 거기에 선생님들을 뵈러 왔다가 지금 이 공간이 비어 있는 걸 발견하고 여기로 오게 되었죠. 처음에는 작업실로만 사용했는데, 가끔 방문하시는 분마다 공간이 넓고 예쁘니 많은 사람이 찾아올 수 있게 하면 좋겠다고 의견을 주셨어요. 그래서 그림 그리는 모습도 자연스럽게 보여드리고, 작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느낌 자체를 항상 보여드릴 수 있도록 오픈 스튜디오 같은 공간을 만들게 되었어요. 이렇게 열려 있는 것이 대중과 소통해야 하는 저에게 잘 맞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이 공간에서 저말고 다른 분들도 힐링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요.
힐링이 되는 예술. 실제로 가수 솔비가 그림을 시작해서 작가 권지안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게 된 계기가 자기 자신을 치유하기 위해서라고 알고 있어요. 심리 치료로 시작하셨다고요.
어릴 때나 학창 시절에는 미술에 관심이 전혀 없었어요. 미술에 소질이 있다거나 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어요. 어릴때부터 가수, 연예인이 되는 게 꿈이었고 그걸 위해 노력해서 원하는 꿈을 이루었는데 언제부턴가 슬럼프가 찾아왔어요. 제가 아는 저의 모습과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는 모습이 다르고, 실제 꿈꾸던 것과 다른 모습들 속에서 활동을 이어가면서 마음을 돌아볼 시간이 없었어요. 몸과 마음이 지쳐 우울증을 겪고 나서야 심리 치료를 시작하게 되었고요. 심리 치료 선생님의 권유로 혼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에 도전해본 것 같아요. 피아노, 공예, 등산까지요. 그러다 미술도 시작하게 되었고 그때 만난 선생님과 이야기를 하고 그림을 그리며 마음이 치유되기 시작했어요. 아이들에게 미술을 가르치시던 선생님이었는데 미술 기법이나 기교를 가르쳐주신 게 아니라 하고 싶은 이야기를 그리는 방법을 알려주셨어요.
하고 싶은 이야기를 그리는 방법이요?
한번은 어떤 걸 그리고 싶냐고 하시면서 지금 마음이 어떤지 물으셨을 때 제가 하늘과 땅 사이에 끼어 눌려 있는 느낌이라고 얘기했어요. 그럼 그걸 그려보라고 하셔서 구름에 끼어서 다리가 땅속으로 묻혀 있는 모습을 그렸어요. 마음을 그린 그림을 보고 선생님이 칭찬을 해주셨는데 ‘그림은 왜곡되지 않는구나.’라는 생각을 했어요. 잘하지 않아도 되고, 정답이 없다는 게 좋았어요. 말은 종종 내 마음과 달리 전달될 때가 있는데 그림은 그렇지 않다는 느낌이 반가웠어요. 그렇게 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그림으로 그리면서 빠져들게 되었어요. 그림을 그리면서 집중하고, 그림을 그려서 사람들에게 선물하면서 소통의 기회가 생기는 게 기뻤고, 그렇게 지금까지 그림을 그리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