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놀렸다. 왜 그렇게 이상한 생각을 하고, 왜 그렇게 이상한 질문을 하느냐고. 그는 어딜 가나 ‘튀는’ 존재였다. ‘사차원’ ‘별종’이라는 수식어가 익숙했다. 가수 솔비. 그는 아팠다. 쏟아지는 악플조차 관심으로 받아들이며 견딘 시간은 단단한 응어리를 만들었다. 우울증이 깊었다. 그즈음 치유를 위해 만난 미술은 그에게 구원이 됐다. 그리고 간절한 두 번째 꿈이 생겼다. 화가가 되고 싶다는…. 상처를 꺼내 자신만의 이야기를 녹여내기 시작했다. 트라우마였던 튀는 생각과 발상은 오히려 표현력에 날개를 달아줬다. 노래하는 화가 권지안. 훨훨 날아오른 그는 이제 블루칩 작가 중 한 명으로 우뚝 섰다.

2017년, 솔비가 〈뮤직뱅크〉에서 선보인 강력한 퍼포먼스를 잊지 못한다. 무대를 캔버스 삼아, 자신의 몸을 붓 삼아 그는 그림을 그렸다. 온몸에 시뻘건 물감을 뒤집어쓰고 토해내는 절규는 낯설고 충격적이었다. 방송 이후 호평과 혹평으로 의견이 분분했다. 그는 자신의 SNS에 이런 글을 남겼다.
“사회에서 튀는 존재를 다수의 사람들은 불편해한다. 낯설기 때문이다. (중략) 세상은 소수의 의견으로 바뀌기 시작하고, 혁신은 그들의 헌신으로부터 시작된다. 정답이 없는 세상에서 자신의 잣대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교만이라고 생각한다.”
누가 뭐래도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포기하지 않고 일관성 있게 해온 그에게는 이제 혹평보다 호평이 더 많이 쏟아진다. 그의 작품의 가치는 고공 행진 중이다. 세계적인 아트페스티벌 〈2019 라 뉘 블랑쉬 파리〉 초청 작가에 선정되는가 하면, 경매와 아트페어 때마다 작품 최고가를 경신한다. 지난 10월에 열린 〈키아프(KIAF)〉에서도 최고가(2300만 원)를 찍으면서 전시가 오픈되기도 전에 여섯 점이 완판됐다.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새삼 놀란 점이 많다. 그는 다양한 영역에서 쉬지 않고 창조적 발상을 구현해온 예술가였다. 가수 솔비로 활동할 때는 무대마다 색다른 의상과 콘셉트로 개성을 뽐냈고, 2014년에 쓴 에세이 《누가 뭐라고 해도 나답게》에서는 ‘나다움’이라는 트렌드를 앞서 읽고 실천했다. 언어 감각도 탁월하다. 우리는 권지안이라는 예술가를, 만들어진 가수 솔비의 이미지에 가두고 평가절하한 건 아닐까.
초겨울, 그가 입주해 있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 가나아틀리에에서 마주 앉았다. 의상 콘셉트에 따라 그는 전혀 다른 이미지를 풍겼다. 베이지 숄을 걸쳤을 땐 신화 속 주인공처럼 우아하더니, 보라색 정장을 입자 패션지의 도도한 에디터 느낌이 났다. 만나자마자 그는 “제가 눈이 너무 많이 부었지요. 아까 나태주 선생님이 다녀가셨는데, 그때 너무 많이 울어서 그래요”라며 어쩔 줄 몰라 했다.

나태주 선생님과 원래 친분이 있었어요?
“아니요. 오늘 처음 뵈었어요. 나태주 선생님이 저를 만나고 싶다면서 먼저 연락을 주셨대요. 제 행보를 보면서 궁금하셨나 봐요. 작품도 보시고, 좋은 말씀도 많이 해주셨어요. 앞으로 어떻게 살면 좋겠다는, 용기를 주고 싶으셨던 것 같아요. 오랜만에 어른을 만난 것 같았어요. 제 작품을 보고 충격받았다고 표현해주셔서 그동안의 마음고생을 어른이 알아주신 느낌이에요.”
좋은 말씀을 들었는데 왜 울었을까요.
감동해서?
“그것도 있고요, 아빠 생각이 너무 많이 나서요. 6개월 전에 돌아가신 아빠와 시인님이 두 살 차이시더라고요. 아빠를 생각하면서 작업한 저 〈허밍〉 시리즈를 보고 시인님이 ‘하늘 글자’라고 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