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a Cake - Piece of Hope
권지안은 다양한 예술 장르를 혼합해 작가 자신과 관객 모두가 느끼는 혼란과 편견, 그리고 그 중심에서 연극적 요소인 해프닝을 일으킨다.
2021년 발표한 'Just a cake' 시리즈도 이와 같은 해프닝을 통해 작품으로 탄생했다.
베이커리 카페이자 본인의 스튜디오에서 제빵사들과 함께 마주치면서 자연스럽게 케이크를 만들어왔고, 조카와 함께 클레이 아트 찰흙 놀이를 하며 영감을 얻어 비정형적인 찰흙 더미의 케이크를 만들어 본인의 SNS에 공개했고 독특한 모양의 이 케이크는 미디어를 통해 크게 이슈가 되었다. 그러나 정체불명의 유령 계정들로 인해 ‘제프쿤스 표절' 이라는 무차별적인 악플 공격을 받았고 사실 확인없이 기사들이 퍼져 표절로 낙인을 찍었다.
색깔 찰흙이라는 오브제를 제프 쿤스는 'Play-doh' 라는 제목의 거대한 알루미늄의 조각품으로, 권지안은 그저 먹는 케이크로 각각 재해석했을뿐이었다.
그렇게 그녀도 그리고 케이크도 상처투성이가 되었다. 그렇게 케이크는 ‘축하'와 '감사'의 순기능을 상실했다.
상처받은 케이크, 권지안은 사이버불링(Cyber-bullying)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옐로우 저널리즘을 비판하고, 작품으로 어딘가에 있을 또 다른 피해자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케이크를 모티브로 작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2021년 3월3일 회화와 조각작품 약 30여점을 발표하였다. 케이크로부터 파생된 평면 회화는 케이크의 다양한 단면들을 해체해 캔버스 폭에 담았다. 케이크 크림 같은 질감과 캔버스 위로 입체적인 형상이 눈에 띄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작품 안에 있는 초는 위태로운 작가의 상황과 마음을 드러내며, 초에서 타오르는 불씨는 희망을 뜻한다.
권지안은 "상처받은 케이크는 축하와 감사의 기능을 상실한 채 살아가는 불안정한 현대인의 초상 같다. 그 안에 꽃힌 초는 고통 속에서 생명을 불어넣는 희망의 빛을 상징한다. 케이크 조각처럼 사람들에게 희망의 조각을 나누고 싶다"고 전했다.

























Just a Cake - Humming
작가는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무한한 사랑들이 오가고, 가사를 썼다 지웠다를 반복하면서 그리움과 슬픔이 언어로 정의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글(언어)은 한계가 있는 상황 속에서 그 복잡한 감성을 모두 담아내지 못한다. 그렇게 나온 'Humming'은 매력적인 그림으로 환원되었다. 알아볼 수 없는 허밍이 권지안 만의 언어 구조로 이어졌고, 그 안에서 탄생한 레터링 케이크들은 2021년 5월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가 되어 작품으로 내려 앉았다.









Humming Letter
‘그리움의 허밍’이 ‘꽃밭 위에 허밍’으로 아빠가 떠난 뒤.
그리움을 담아 ‘플라워 프롬 헤븐’이란 음악을 만들었다. 가사 작업을 할 때마다 상실과 슬픔이 터져 나왔고, 가사를 썼다 지웠다 반복하다 결국 그 음악은 ‘허밍’으로 완성됐다. ‘허밍’은 캔버스를 만나 조형적인 언어로 탄생했다.
2018년 프랑스를 다녀온 후가 떠오른다. 풍경에 빠져 화사한 천국을 그려보고 싶었고 꽃을 사랑한 아빠에게 보여주고 싶었다. 안타깝게도 아빤 그림을 보지 못하고 떠나셨고 그 뒤로는 풍경을 그리지 않았다.
지금에서야 다시 풍경이 그리고 싶어졌다.
추운 겨울이 지나니 어느새 봄이 느껴진다 ‘꽃밭 위에 허밍’을 경쾌하게 표현하여
움츠러들었던 모두의 마음이 힘차게 피어오르는 충만한 느낌의 춤을 추고 싶다.